지속가능한 청소년인권운동을 위한 전·현 활동가 연구: 계속하는 마음, 그만하는 마음
서울시 NPO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는 이야기 이별에 익숙해지는 운동을 넘어: 연구를 시작하기까지 1부 청소년인권운동은 왜 활동가의 운동 지속가능성을 고민하게 되었나
(1) 연구의 대상: 청소년인권운동의 성격과 역사 1) 청소년인권운동의 개념과 전사(前史) 2) 청소년인권운동 1세대(1995~2005년) 3) 청소년인권운동 2세대(2006~2016년) 4) 청소년인권운동 3세대(2017년~현재) 그리고 연구 범위
(2) 연구의 주제의식: 청소년인권운동 지속가능성의 의미 1) 청소년인권운동과 운동의 지속가능성 관련 선행 연구 2) "청소년인권운동은 청소년만 해야 하나?" 3) "청소년인권운동을 하며 먹고살 수 있을까?" 4) 안정적·전문적·지속적 활동가의 자리 5) 연구 주제의식
(3) 연구방법 및 면담 참여자 정보
2부 활동가 면담을 통해 발견한 현황과 과제 (1) 어쩌다 청소년인권활동가: 운동 시작 단계에서 나타난 특징
(2) 계속하는 마음: 운동 참여와 활동가 정체화 과정의 동기와 지원 1) 청소년인권운동의 지향에 대한 동의와 공감 2) 운동이 주는 해방감, 생동감, 성취감 3) 함께하는 관계와 친밀감, 공동체성, 소속감 4) 운동의 언어를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발견하는 의미 5) 운동에 대한 아쉬움과 의지, 책임감
| (3) 그만하는 마음: 지속을 어렵게 하는 요인 1) 활동가 정체화의 어려움 2) 운동의 열악한 상황, 반복되는 실패 3) 동료의 부족과 책임에 대한 부담감 4) 과중한 업무량과 생계문제 5) 삶에서의 불안과 차별, 사회 안전망 부재 6) 사회적 이해 부족
(4) 운동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과 과제 1) 휴식과 치유를 통해 삶을 돌보는 일 2) 생계 보장 등 재정 마련 3) 운동의 의미화와 활동가로서의 정체화 4) 활동가로서 훈련과 성장 5) 전망과 책임을 함께 나누는 동료 관계 6) 다른 운동과 연결을 통한 확장
닫는 이야기 우리가 이어갈 삶과 운동: 연구를 마치며 (1) 그만하는 마음과 계속하는 마음이 만나는 순간 : 다양한 네트워크 가능성 모색 (2) 남은 과제와 고민 (3) 짧은 에필로그
참고문헌
|
난다 (n23podo@gmail.com)
강제야자와 체벌 등 차별과 폭력에 익숙해지게 만드는 학교를 바꾸고 싶어서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 학습시간줄이기운동 등에 함께했고, 지금은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에서 활동하고 있어요. 청소년인권을 ‘한때의 문제’가 아닌 ‘지금의 과제’로 마주하는 사회를 꿈꾸며, 청소년인권운동이 지어갈 변화의 길을 함께 걸어갈 사람들이 더 많아지길 바라며 연구했습니다.
공현 (gonghyun@gmail.com)
고등학생 때 청소년인권운동을 시작하여 30대가 된 지금도 그 활동가로 살고 있고, 청소년인권운동의 역사나 문제의식을 정리해왔습니다. 청소년인권운동이 더 커지고 다음 걸음을 내딛을 수 있기를 바라며 활동가의 지속에 대한 이번 연구를 했습니다. 나와는 참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같이 해나가는 것이 쉽지 않은 일임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피아 (juyeon1331@gmail.com)
청소년 때 원가정이라는 악의 소굴에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도와준 활동가들을 만나 지금껏 청소년인권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청소년인권운동. 누구보다 쉽게 포기하고, 누구보다 쉽게 질려하지만 그런 나라도 이어나가고 싶은 운동을 고민하며 연구했습니다.
지속가능한 청소년인권운동을 위한 전·현 활동가 연구: 계속하는 마음, 그만하는 마음
서울시 NPO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는 이야기
이별에 익숙해지는 운동을 넘어: 연구를 시작하기까지
1부 청소년인권운동은 왜 활동가의 운동 지속가능성을 고민하게 되었나
(1) 연구의 대상: 청소년인권운동의 성격과 역사
1) 청소년인권운동의 개념과 전사(前史)
2) 청소년인권운동 1세대(1995~2005년)
3) 청소년인권운동 2세대(2006~2016년)
4) 청소년인권운동 3세대(2017년~현재) 그리고 연구 범위
(2) 연구의 주제의식: 청소년인권운동 지속가능성의 의미
1) 청소년인권운동과 운동의 지속가능성 관련 선행 연구
2) "청소년인권운동은 청소년만 해야 하나?"
3) "청소년인권운동을 하며 먹고살 수 있을까?"
4) 안정적·전문적·지속적 활동가의 자리
5) 연구 주제의식
(3) 연구방법 및 면담 참여자 정보
2부 활동가 면담을 통해 발견한 현황과 과제
(1) 어쩌다 청소년인권활동가: 운동 시작 단계에서 나타난 특징
(2) 계속하는 마음: 운동 참여와 활동가 정체화 과정의 동기와 지원
1) 청소년인권운동의 지향에 대한 동의와 공감
2) 운동이 주는 해방감, 생동감, 성취감
3) 함께하는 관계와 친밀감, 공동체성, 소속감
4) 운동의 언어를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발견하는 의미
5) 운동에 대한 아쉬움과 의지, 책임감
(3) 그만하는 마음: 지속을 어렵게 하는 요인
1) 활동가 정체화의 어려움
2) 운동의 열악한 상황, 반복되는 실패
3) 동료의 부족과 책임에 대한 부담감
4) 과중한 업무량과 생계문제
5) 삶에서의 불안과 차별, 사회 안전망 부재
6) 사회적 이해 부족
(4) 운동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과 과제
1) 휴식과 치유를 통해 삶을 돌보는 일
2) 생계 보장 등 재정 마련
3) 운동의 의미화와 활동가로서의 정체화
4) 활동가로서 훈련과 성장
5) 전망과 책임을 함께 나누는 동료 관계
6) 다른 운동과 연결을 통한 확장
닫는 이야기 우리가 이어갈 삶과 운동: 연구를 마치며
(1) 그만하는 마음과 계속하는 마음이 만나는 순간
: 다양한 네트워크 가능성 모색
(2) 남은 과제와 고민
(3) 짧은 에필로그
참고문헌
난다 (n23podo@gmail.com)
강제야자와 체벌 등 차별과 폭력에 익숙해지게 만드는 학교를 바꾸고 싶어서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 학습시간줄이기운동 등에 함께했고, 지금은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에서 활동하고 있어요. 청소년인권을 ‘한때의 문제’가 아닌 ‘지금의 과제’로 마주하는 사회를 꿈꾸며, 청소년인권운동이 지어갈 변화의 길을 함께 걸어갈 사람들이 더 많아지길 바라며 연구했습니다.
공현 (gonghyun@gmail.com)
고등학생 때 청소년인권운동을 시작하여 30대가 된 지금도 그 활동가로 살고 있고, 청소년인권운동의 역사나 문제의식을 정리해왔습니다. 청소년인권운동이 더 커지고 다음 걸음을 내딛을 수 있기를 바라며 활동가의 지속에 대한 이번 연구를 했습니다. 나와는 참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같이 해나가는 것이 쉽지 않은 일임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피아 (juyeon1331@gmail.com)
청소년 때 원가정이라는 악의 소굴에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도와준 활동가들을 만나 지금껏 청소년인권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청소년인권운동. 누구보다 쉽게 포기하고, 누구보다 쉽게 질려하지만 그런 나라도 이어나가고 싶은 운동을 고민하며 연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