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의 활동
1. 청소년인권의 '말'을 지음 - 청소년인권 주장 연구 및 확산, 제도·정책 의견 개진
청소년인권을 주제로 활동가들이 공동으로 글을 써 언론에 연재합니다. 청소년인권의 관점으로 현안과 사건을 분석하고, 소외된 청소년인권의제를 발굴하고자 합니다. 청소년인권담론을 보다 폭넓게 시민/사회와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지금까지 연재한 글은 프레시안 [청소년 인권을 말하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인권 자료 정리와 아카이브 시스템을 마련합니다. 단체 홈페이지 자료실에 과거와 현재의 청소년인권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인권운동 아카이브’ 등과 협력하여 자료를 공유하고 백업 자료를 만들어 운동의 역사가 유실되지 않게 합니다.
청소년인권 현안과 제도·정책, 선거 공약 등에 대해 상시적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합니다. 제도·정책 개발과 평가 과정에서 현장의 문제점을 발견하며, 청소년인권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관련 사안에 대응합니다. 청소년 정책과 제도가 인권친화적인 방향으로 수립되고 시행될 수 있도록 시의적인 논평과 성명을 발표하며, 청소년 및 시민들의 지지를 조직합니다.
2. 청소년인권 '배움'을 지음 - 청소년인권 교육 내용 개발과 진행
청소년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깨우고, 참여자 스스로 자신의 현장(학교, 지역사회 등)에서 청소년인권의 옹호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권교육의 내용을 개발하고 진행합니다.
일상적으로 활동가들의 인권교육 경험을 나누고 피드백을 공유하며 개선점과 과제 도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합니다. 언론 기고 및 SNS 등을 통해 청소년인권 교육 취지와 경험을 나누고 문제의식을 공유합니다.
교육 상의 게시판을 통해 교육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청소년인권의 '길'을 지음 - 활동가 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청소년인권운동을 하고자 하는 청소년, 청소년기에 운동을 시작했지만 이제 비청소년이 되거나 비청소년이 될 날을 앞두고 전망을 고민하는 청소년활동가들과 함께 길을 찾고 소통합니다.
청소년인권활동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며 삶을 지속하기 위해 운동적 과제와 전망을 함께 논의하고, 경험과 자료를 꾸준히 공유합니다.
특히 서울 외 지역에서도 청소년인권운동의 주체를 만나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다양한 지역과 현장에서 운동이 싹트고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청소년인권을 위한 '기댈 곳'을 지음 - 청소년인권침해 현안 대응과 이슈화
인권침해를 겪은 청소년들을 지원하고 사건에 대응합니다.
청소년들이 존엄을 회복할 수 있도록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원을 연결하고, 청소년의 사회적 지위를 변화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게 노력합니다.
청소년들이 부정의에 대항할 언어를 찾고 연대하여, 인권침해에 저항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며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